금융연구원 "Fed, 물가안정목표 개선에 나서"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사진=Fed 홈페이지.


[초이스경제 장경순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가 2015년 12월, 7년간의 제로금리에서 탈피할 때 이번 금리인상은 최소 2.75%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2.25%까지 도달한 현재, 더 이상의 금리인상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Fed 관계자들은 지난해 연말 점도표에서 올해 두 번 정도의 금리인상을 예상했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그 때 예상일뿐이다. 제롬 파월 Fed 의장도 점도표를 너무 믿지 말라며 이보다 개선된 소통방식을 연구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들어서는 올해 Fed가 오히려 금리를 내릴 것으로 보는 투자가 더 늘어났다.

그러나 미국의 물가가 Fed의 물가목표 2%와 그럭저럭 수준을 맞추는 상태에서 금리인하로의 정책편향(bias) 전환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 관점에서 주목되는 것이 Fed의 물가안정목표제 개선방안이다. Fed가 금리인하로의 전환을 위한 명분 찾기가 아니냐는 관점에서 주목된다.

금융연구원은 17일자 금융브리프 국제금융이슈에서 Fed가 “장기간 경기확장 국면과 최저수준 실업률에도 불구하고 물가상승률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물가안정목표제도 개선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물가상승 목표를 올리거나, 한해 물가가 낮을 경우 다음 해 물가목표를 더욱 높이는 방법, 장기간의 평균물가 목표를 정하는 방법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금융연구원은 전했다.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방법들은 실질적으로 Fed의 금리인하 전환이 쉬워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금융연구원은 “물가상승률이 목표에 미달하고 연방기금금리가 과거 경기확장국면과 달리 적당히 높은 수준까지 상승하지 못함에 따라 앞으로 경기침체국면이 왔을 때 Fed의 완화모드 전환에 상당한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연구원은 Fed가 양적완화와 같은 “비전통적 통화정책에 장기간 의존해야 할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이 다시 쓰일 경우 실효성보다 은행 수익성 훼손과 부동산시장 거품 형성 등 부작용만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